ChatGPT를 뉴스레터 작성에 활용하는 2가지 방법

ChatGPT를 활용한 뉴스레터 콘텐츠 아이디어 발굴과 초안 작성 전략

ChatGPT를 뉴스레터 작성에 활용하는 2가지 방법

업무를 진행할 때 생산성을 높이고 산출물의 퀄리티를 개선하기 위해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점점 중요해지는 요즘입니다. 이메일 마케팅 영역 또한 예외는 아니고요. 오늘은 ChatGPT를 뉴스레터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2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콘텐츠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방법과 초안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될 팁을 살펴보세요.

1. ChatGPT로 뉴스레터 콘텐츠 소재 탐색하기

구체적이지 않은 프롬프트를 입력했을 때 광범위한 답변을 전달하는 ChatGPT

뉴스레터 소재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ChatGPT를 활용해 보세요. 이때 단순히 '뉴스레터 소재를 추천해 주세요'라는 요청은 원하는 답변을 듣기 어렵기 때문에 업무의 맥락, 목적, 결과를 구체적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만약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프롬프트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보세요.

프롬프트 프레임워크란?

프롬프트는 ChatGPT와 같은 AI에게 입력하는 질문이나 지시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프롬프트 프레임워크란 이 질문을 구체적으로 구조화하는 공식을 의미하고요. 프롬프트 프레임워크를 적절히 활용하면 ChatGPT에게 더욱 정확하고 구체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식은 CARE 프레임워크로, 다음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Context (맥락): 자신이 누구이며 어떤 상황인지
  • Action (행동): ChatGPT에게 무엇을 요청할 것인지
  • Result (결과): 어떠한 기대를 갖고 있는지
  • Example (예시): 참고할 수 있는 이전 사례

예를 들어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마케터의 입장에서 아래와 같이 프롬프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CARE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작성한 프롬프트
  • 맥락(Context)
    • 이메일 뉴스레터 서비스 ‘스티비’에서 뉴스레터 콘텐츠를 기획, 발행하는 마케터입니다. 이메일 마케팅을 통해 고객과 관계를 쌓고 싶은 마케터를 주요 독자층으로 삼고 있으며, 실제 이메일 마케팅 관련 업무에 적용 가능한 팁 중심의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뉴스레터 주제를 기획 중입니다.
  • 행동(Action)
    •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뉴스레터 콘텐츠 소재 10가지를 제안해 주세요.
      • 이메일 마케팅, 뉴스레터와 관련된 주제
      • 이메일 마케팅 성과 개선에 참고할 수 있는 주제
      • 마케터가 뉴스레터를 읽고 바로 실행할 수 있을 만한 주제
  • 결과(Result)
    • 이를 통해 다음 주에 실제 발행 가능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합니다.
  • 예시(Example)
    • 참고로, 이전 뉴스레터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제의 뉴스레터를 발행했습니다.
      • 구독자에게 피드백을 수집하는 방법
      • 이메일 마케팅에서 세그먼트를 활용하는 방법

이처럼 구성하면 ChatGPT는 뉴스레터 콘텐츠로 활용 가능한 아이디어를 훨씬 정교하게 제안할 수 있습니다.

2. ChatGPT로 뉴스레터 초안 작성하기

ChatGPT로 뉴스레터 콘텐츠 소재를 탐색했다면 이를 바탕으로 뉴스레터 초안을 작성해 보세요. 뉴스레터 소재를 찾을 때와 마찬가지로 맥락, 행동, 결과를 포함한 프롬프트를 작성하되 참고할 수 있는 예시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ChatGPT가 답변할 초안의 문체와 기존에 발행하던 뉴스레터의 톤 사이의 괴리감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함인데요. 브랜드의 톤앤매너 가이드나 기존에 발행한 뉴스레터 혹은 블로그 콘텐츠의 URL을 프롬프트에 포함한다면 기대에 가까운 초안을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

뉴스레터 초안 개선을 위한 협업 프로세스

질문을 통해 초안을 개선하기 위한 프롬프트

이때 한 번의 질문으로 완벽한 결과물을 얻길 기대하는 것보다, 질문을 계속하며 글을 개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보세요. 이 단계에서도 질문 혹은 요청을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윤문해 주세요'라고 프롬프트를 작성하기보다는, 초안의 방향을 확정하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수정 방향을 구체적으로 전달해 보세요. 작업 순서와 작업 역할을 4단계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초안 생성: ChatGPT가 첫 번째 뉴스레터 초안을 작성합니다.
  2. 1차 윤문: 담당자가 문체와 방향성에 맞게 초안을 검토하고 조정합니다.
  3. 피드백 전달: 수정할 부분, 보완이 필요한 문장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4. 최종 개선: ChatGPT가 피드백을 반영해 초안을 개선합니다.

이 과정을 필요한 만큼 반복하며 초안을 원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단순한 아이디어를 ChatGPT와 협업하며 높은 완성도의 뉴스레터 콘텐츠로 만들 수 있는 것이죠.


글 | 스티비 한세솔
메인 이미지 | 스티비 권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