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비로 시작하는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2 Zapier로 연동하기
이 글은 “스티비로 시작하는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시리즈의 두 번째 글입니다. 이 시리즈는 총 3개의 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Zapier 스티비 앱이 출시되면서, "Webhook By Zapier"를 활용하는 방식에서 "Zapier 스티비 앱"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글의 내용을 수정했습니다.
이 글은 <스티비로 시작하는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시리즈의 두 번째 글입니다. 이 시리즈는 총 3개의 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티비로 시작하는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1 준비하기
#2 Zapier로 연동하기
#3 자동 발송되는 이메일 만들기
이전 글 보기 — #1 준비하기
이제 Zapier를 사용해서 구글 설문지와 스티비 주소록을 연동할 차례입니다. 바로 자동화의 마법이 일어나는 부분입니다.
스티비에서는 API, 자동 이메일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스탠다드 요금제로 업그레이드합니다. Zapier는 무료 요금제를 사용해도 됩니다.
다만, 여러 단계의 복잡한 시나리오를 만들기 위해서는 Zapier에서도 유료 요금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의 내용을 참고해 기본적인 연동을 먼저 해보시고, 이후에 확장이 필요하면 그때 Zapier 유료 요금제를 결제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Zapier에는 연동을 쉽게 할 수 있는 여러 앱이 있습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연동하려면 Zapier에서 구글 스프레드시트 앱을 사용하면 되고, 노션과 연동하려면 Zapier에서 노션 앱을 사용하면 됩니다. Zapier에는 이런 앱이 8,000개 이상 존재합니다.
스티비와 연동하려면 마찬가지로 Zapier에서 스티비 앱을 사용하면 됩니다.
로그인 후 화면 왼쪽 위 [Create]를 누른 뒤, [Zaps]를 눌러 새로운 Zap(이하 잽)을 생성합니다.
Zapier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Zapier에서 잽은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는 시나리오인 일종의 워크플로우입니다. 잽은 Trigger(이하 트리거)와 Action(이하 액션)으로 구성됩니다.
트리거에 설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액션에 설정한 내용이 실행됩니다. 우리가 만들려는 시나리오에서는 ‘구글 설문지를 통해 참가 신청을 한 것’이 트리거가 되고, ‘참가 신청한 사람의 정보를 스티비 주소록으로 전송하는 것’이 액션이 됩니다.
Zapier 무료 요금제에서는 트리거 1개, 액션 1개로만 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유료 요금제에서는 여러 개의 트리거와 액션으로 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더 복잡한 시나리오의 자동화가 가능한 것이죠.
트리거 설정하기
잽을 만드는 첫 단계는 트리거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설정할 트리거는 ‘구글 설문지를 통해 참가 신청을 한 것’입니다. 다시 얘기하면, 구글 설문지에 새로운 값이 입력됐을 때, 그 값을 불러오는 것입니다.
[Trigger]를 누르면 표시되는 화면에서 [Google Forms]을 검색해 선택합니다.

[Trigger event → New Form Response]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구글 폼에서 새로운 응답 값이 추가됐을 때 트리거가 실행됩니다.

[New or Updated Form Response]를 선택하면, 새로운 응답 값이 추가됐을 때뿐만 아니라 이미 추가된 값이 변경됐을 때도 트리거를 실행합니다
참가 신청한 시점에 이메일을 발송하기 때문에, 값이 변경되는 것은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만약, 참가 신청 후에 이메일 주소나 다른 정보가 변경됐을 때도 트리거를 실행하고 싶다면, [New or Updated Form Response]를 선택해 주세요.
[Account → Sign in]을 눌러 구글 설문지를 생성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한 뒤, 액세스 권한을 허용합니다. 이전에 Zapier에서 구글 서비스를 연동한 적이 있다면, [Account → Select an account]를 눌러 이미 연동되어 있는 계정을 선택하면 됩니다. 만약, 새로운 계정과 연동하고 싶다면 [Connect a new account]를 눌러 연동을 진행해 주세요.

계정 연동이 완료됐다면 [Continue]를 눌러 [Configure] 단계로 이동합니다.
[Form] 아래의 드롭다운 메뉴를 눌러 연동을 진행할 구글 설문지를 선택합니다. 게시된 상태의 구글 설문지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폼을 선택하기 전에 설문지가 게시된 상태인지 확인해 주세요.
구글 설문지를 선택했다면 [Continue]를 눌러 [Test] 단계로 이동합니다.

이제 내가 설정한 트리거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Test Trigger]를 눌러 트리거를 실행해 구글 폼에 등록된 값을 불러옵니다. [Find new records]를 누르면 새로 등록된 값을 더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단계에서 사용할 샘플 응답을 선택합니다.

올바른 테스트를 위해 구글 설문지에 최소 1개 이상의 응답이 존재해야 합니다. 응답이 존재하지 않으면 구글 설문지에서 응답을 먼저 진행해 주세요. 응답을 정상적으로 완료했으나 Zapier에 표시되지 않는다면, [Find new records]를 눌러 응답을 불러온 뒤 선택하면 됩니다.
값이 정상적으로 불러와진다면 트리거가 잘 설정된 것입니다. [Continue with selected record]를 눌러 액션 설정 단계로 이동합니다.
액션 설정하기
이제 액션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우리가 설정할 액션은 ‘참가 신청한 사람의 정보를 스티비 주소록으로 전송하는 것’입니다. 다시 얘기하면, 트리거에서 불러온 응답 값을 스티비 주소록에 입력하는 것입니다.
스티비 주소록에 입력한다는 것이 스티비에 로그인해서 직접 입력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입력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위해 스티비의 주소록 API를 사용해야 합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개발자에게는 익숙한 개념이지만, 이 글을 읽고 있는 대다수의 분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개념일 것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스티비와 같은 서비스가 Zapier와 같은 다른 서비스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미리 약속한 프로그래밍 규칙입니다. 스티비 API와 Zapier API가 제공하는 규칙에 맞게 코드를 만들면, 각 API에서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죠.
다행히 Zapier 스티비 앱을 사용하면, API나 코드에 대한 이해 없이, Zapier 기능만으로 API 연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Zapier 같은 서비스를 노코드 툴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Action]을 누르면 표시되는 화면에서 ‘Stibee’라고 입력해 스티비 앱을 선택합니다.

[Action event → Add Subscriber]를 선택합니다. 구글 설문지를 통해 참가 신청한 사람을 스티비 주소록에 새로운 구독자로 추가한다는 의미입니다.

[Account]를 눌러 스티비 API 키를 입력합니다. 입력을 마무리했다면, [Continue]를 눌러 [Configure] 단계로 이동합니다.
스티비 API 키는 스티비 서비스 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하는 자세한 방법은 API 사용하기 도움말을 참고해 주세요.
이제 화면의 각 항목을, 이어지는 설명에 따라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List ID]는 구글 설문지에서 불러온 응답 값을 바탕으로 구독자를 추가할 주소록 ID입니다. 주소록 ID는 이렇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스티비에 로그인합니다. 화면 상단의 [주소록]을 눌러 주소록 목록으로 이동합니다.
2. 연동할 주소록 이름을 선택합니다.
3.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URL에서 lists 뒤의 숫자를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URL이 “https://stibee.com/lists/12345/subscribers”라면, “12345”가 이 주소록의 ID입니다.

다시 Zapier로 돌아와, 위에서 확인한 주소록 ID를 [List ID]에 입력합니다.

[Email]은 주소록에 추가할 구독자의 이메일 주소입니다. [+]를 눌러 이메일 주소와 매칭될 응답을 선택해 주세요.
[Status]는 구독자의 상태입니다. 참가 신청한 사람을 구독자로 추가하기 위해 [Subscribed](구독 중)을 선택합니다.
[Custom Fields]는 이메일 주소 외에 추가할 구독자 정보입니다. [Custom Fields]에 입력할 값은 주소록의 [사용자 정의 필드 → 키]를 참고하면 됩니다. 이름, 연락처 등 구독자 정보에 추가하고 싶은 값이 있다면 [+]를 눌러 연동할 응답을 선택해 주세요.
예를 들어, 신청자의 “이름”을 추가하고 싶다면, [Custom Fields]에 “name”(이름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의 필드의 키)이라고 입력한 뒤, 매칭될 응답을 선택하면 됩니다.
[Marketing Allowed]는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 여부입니다. 구독 신청 단계에서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를 받았다면 값을 [True](동의함)로 선택합니다. 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False](동의하지 않음)를 선택합니다.
[Update Enabled]는 이미 존재하는 구독자에 대한 처리 방식을 의미합니다. 만약, 이미 참가 신청을 진행한 사람이 구글 설문지를 통해 다시 한 번 참가 신청을 진행하는 경우, 정보를 업데이트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재신청 시 추가되는 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싶다면 [True](업데이트함)를 선택합니다. 업데이트하지 않고 싶다면 [False](업데이트하지 않음)를 선택합니다.

입력을 완료했다면 [Continue]를 눌러 [Test] 단계로 이동합니다. [Test] 단계에서 [Test step]을 누르면 앞에서 설정한 내용이 실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ata in]에서는 구글 설문지에서 전달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보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다면 연동이 무사히 완료된 것입니다.

[Data Out]은 Zap 실행에 대한 처리 결과입니다. 위 이미지에서는,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어 donghee+test@stibee.com 이메일 주소가 주소록에 구독자로 추가되었습니다.
설정을 완료했다면 [Publish]를 눌러 Zap을 실행합니다. 이제, 구글 설문지를 통해 참가 신청하는 사람을 주소록에 구독자로 자동 등록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하기
게시된 구글 설문지에 임의로 응답을 제출하고, 스티비 주소록의 구독자 목록에 제출한 정보와 일치하는 구독자가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구독자 목록에 추가되어 있지 않았다면, 앞의 내용 중 빠진 것이 없는지, 잘못 입력한 것이 없는지(예. 주소록 ID, API 키)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세요.

여기까지 문제없이 하셨다면, 구글 설문지를 통해 구독자를 모집하는 것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너무 복잡해 보인다면 스티비의 구독 폼을 사용해도 됩니다. 구독 폼을 사용하면 구글 설문지로 참가 신청 페이지를 만들 필요도, Zapier로 스티비 API를 통해 응답 값을 스티비로 전달하는 워크플로우를 만들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스티비의 구독 폼은 질문 형식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응답받는 내용을 복잡하게 설계해야 한다면, 구글 설문지를 통해 구독 신청을 받고, Zapier를 활용해 스티비 주소록에 구독자를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구글 설문지가 아닌 다른 서비스(예. 타입폼(Typeform), 탈리(Tally))도 스티비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 보기 — #3 자동 발송되는 이메일 만들기
스티비로 시작하는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1 준비하기
#2 Zapier로 연동하기
#3 자동 발송되는 이메일 만들기